곡물 분진에 의한 직업성 천식 예방자료
발생개요 : 제과 제빵 사업장의 배합 및 정형공정에서 밀가루를 취급하던 작업자에게 직업성 천식 발생 | |
사업주가 취해야 할 사항 |
근로자가 취해야 할 사항 |
․ 곡물 분진 노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건강영향을 작업자에게 고지
․ 곡물을 함유하고 있거나 묻어있는 모든 물질을 근로자에게 고지
․ 곡물 분진 노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공정을 밀폐하거나 환기할 것
․ 주기적인 작업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노출농도 평가 및 관리
․ 작업자들에게 적절한 호흡보호구 지급 및 착용관리
․ 주기적인 건강진단실시 및 교육을 통한 직업병 예방 |
․ 가장 고농도의 곡물 분진의 노출은 밀폐공간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
․ 곡물 취급 작업시 적절한 호흡보호구를 착용
․ 음식을 먹기 전에 손과 얼굴을 씻고 흡연시 작업지역 밖으로 이동할 것
․ 작업장을 떠날 때에는 샤워를 하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을 것
․ 건강진단에 빠짐없이 참여하고 사업주가 실시하는 교육에 참여할 것 |
본 자료내용에 대해 문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노동부 산업안전보건국(02-507-0206~7) |
곡물분진의 특성 및 성분 | |
곡물분진의 60~75 %는 유기물질이고 25~40%는 무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음
․밀, 보리, 호밀, 옥수수 등 씨리얼 입자, 해바라기씨 등의 지방 종자, 콩과류의 씨 ․곡물, 씨, 콩과류의 분해물 ․토양, 미량의 화학 원소와 같은 무기물질 ․미생물, 식물입자 ․설치류, 조류의 머리카락, 가죽, 배설물 ․비료, 농약, 제초제와 같은 화학물질 ․추수, 가공, 저장 동안 곡물에 축적될 수 있는 금속입자, 윤활유, 페인트 조각 등
| |
곡물분진에 노출되는 주요 작업 |
곡물분진의 영향 |
․ 곡물의 경작 작업, 양곡 작업, 제분 작업, 저장 운반 작업, 제분된 곡분의 취급 작업 등 곡물의 경작에서부터 양곡, 제분, 운반 및 2차 가공 작업
|
․천명, 기침, 만성기관지염, 호흡곤란, 천식, 농부폐, 진균중독증, 알레르기성 폐포염, 비염, 결막염, 곡물열, 피부염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곡물분진의 노출기준 |
곡물분진 노출농도에 |
․ACGIH(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에서는 곡물분진의 노출기준을 4 mg/m3 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밀가루와 같이 제분된 분진에 대해서는 0.5 mg/m3으로 권고하고 있음
|
․경작, 가공, 저장, 취급시 등의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분진의 농도는 환기설비의 디자인, 취급 방법, 습도, 청소상태, 자동화 정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천식 등의 직업병 예방을 위해서는 노출농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함 |
참고자료 : ACGIH Documentations of TLV and BEI (7th Ed., 2001) | |
노동부 산업안전보건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