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HRD+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ASTD Debriefing - 장원섭 교수님
2010 ICE (International Conference & Exposition) The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I. ASTD Intro.
5/16~5/19 at Chicago
슬로건: find your value
find your passion / find your inspiration
즉 value, passion, inspiration이 중요 키워드임.
* General Session은 3명(or team)
1. Daniel Pink (Monday, May 17, 2010, 8:00-9:15 a.m.)
- Best Selling Author, Drive: The Surprising Truth About What Motivates Us, A Whole New Mind: Why Right-Brainers Will Rule the Future and The Adventures of Johnny Bunko: The Last Career Guide You'll Ever Need
- 전, Al Gore 부통령 연설문 작성자
- 창의성, 직관성, 감성 등이 중요하다고 주장
- www.danpink.com
2. Charlene Li(Tuesday, May 18, 2010, 8:00-9:15 a.m.)
- Best-Selling AUthor, Open Leadership: How Social Technology Can Transform the Way You Lead and Groundswell
- 현, Altimeter Group 창업자
- 네티즌과 친한 기업이 성공한다. 웹 2.0 방식의 새로운 인터넷 발달. 따라서 네티즌과 교류하면서 어떻게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인가.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은 기술일 뿐. 사람과의 관계가 더욱 중요하다.
- www.charleneli.com / www.altimetergroup.com/blog
3. Second City Communications(Wednesday, May 19, 2010, 3:00-4:00 p.m.)
- the innovative learning and training division of the world-renowned improvisation theatre company, The Second City.
- The Second City는 즉흥극에 관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극단.
- 변화를 위한 더 나은 방법을 이야기. 굉장히 흥겹게 즉흥극을 하면서 강연을 진행해나감.
- 즉흥극이 HRD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어질 수 있을지...
- www.secondcitycommunications.com
* Concurrent Session : 5개 track / 246개의 Session
- 2009년도에는 9개 track이었으나 올해부터 5개 track으로 운영
- Track의 종류
> Learning Design & Facilitation(교수설계 & 촉진) - 44개 세션
> Learning Technologies(학습 공학) - 32개 세션
> Developing People(인재 개발) - 63개 세션
> Implementing Solutions(솔루션 실행) - 71개 세션
> Personal Development(개인 개발) - 36개 세션
* EXPO에는 336개의 업체 부스 마련
* Certificate Programs & Preconference Workshops (5/13 ~ 15)
* 총 참가자수는 약 8,500여명 - 외국인 참가자 수는 70여개국 1,800여명(이 중 한국인 390명 참가)
* ASTD는 T&D 보다는 WLP(Workplace Learning & Performance) 개념을 접근
주제 1. "We-Learning" : Learning Web
- 사람들이 어떻게 모여서 일터에서 함께 일하고 배우는가.
- 웹 기반의 함께 배우기
- e-Learning을 넘어선 We-Learning
[SU103] What Every Manager Must Know About Learning 2.0 - Marc Rosenberg
- 오늘날 우리의 역할은 training-education-information순이나 최근에 발생할 역할은 information-training-education임.
- 모든 관리자가 알아야만 하는 것: Learning 2.0의 새로운 방식의 학습
- 전통적 학습은 학습이 교실에서, 실험과 실습을 통해, 온라인을 통해 이우어 졌으나, 새로운 버전인 Learning 2.0은 멘토링/코칭, 수행지원, 전문가의 활용, 실행공동체, 정보저장 시스템 등을 통한 학습 들이 추가되었다.
- 전통적 학습의 주체는 학습자이나 세로운 버전에서는 Performer(수행자)라고 불러야 한다.
- 기술의 진보, 학습 문화, 경영시스템으로서의 학습, 이동성과 분산화, 작업장 통합, 형식학습/무형식 학습 - 조직학습에 새로운 영향
- "학습은 교실을 넘어서는 복잡한 현상이다. 조직의 학습에서, 학습과 훈련을 혼동하는 것은 치명적이다" - Peter Senge
- 사회적 미디어의 다이얼로그, 다:다, 협력과 공유, 사용자 중심의 내용, Wiki 방식, Social Media 활용 등
- 교실은 여전히 중요하다. (From 사실 강의, 개인학습, 단일한 교수 방법, 단계를 고려하는 교사 to 발견의 촉진, 팀 협력, 다양한 교수 방법, 옆에서 안내하는 교사)
[Tony Bingham] The Power of Community
- Social Learning: informal, collaborative learning w/ social media, still trends
[Charlene Li] Open Leadership
- 조직은 어떻게 통제를 포기하는가에 초점을 두어야 함.
- 공유의 문화, 참여를 통한 열린 학습, 개방성을 위한 훈련
- 개방성을 전략과 일치시켜라, 열린 리더를 찾아서 개발하라, 실패를 수용하라
> Knotworking(Engestrom(2008), From Teams to Knots: Activity-Theoretical Studies of Collaboration and Learning at Work)
- 매듭짓기, 모두가 모두와 협력하는 방식
- 끌리고 쏠리고 들끓고(here comes everybody)
- 함께 확장해 가는 학습
주제 2. "We-Learning" : Learning Community
- Me-Learning을 넘어선 We-Learning
- 나 혼자의 학습이 아닌 함께 학습
[SU206] Breaking Down the Walls: Interagency Leadership in the Federal Government - Bill Adams, Thomas Gaffney
- 1900~ 의존적(dependent) 리더십 문화 : 오직 권한을 가진 지위의 사람만이 리더십에 책임을 가짐
- 1970~ 독립적(independent) 리더십 문화 : 지식과 전문기술에 기반하여 다양한 개인들로부터 리더십 발생
- 2000~ 상호의존적(interdependent) 리더십 문화 : 리더십은 집합적 행동으로 상호 탐구와 학습을 요구
- 사일로 이펙트(사일로처럼 서로간의 교류가 없으면 안된다)
- 스파게티와 같이 뒤엉킨 상호 작용 및 협력 필요
[TU216] Solving the Knowledge-Transfer Problem: 12 Practical Strategies - William Rothwell
- 지식 전이를 위한 12가지 실용적인 전략: 직무 체험(Job Shadowing),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과정 문서화, 결정적인 사건(Critical Incident), 전문가 시스템, 온라인 성과지원 시스템, 직무보조, 스토리보드, 멘토링 프로그램, 스토리텔링, 정보교환, 성공적인 실천사례 연구(미팅)
[M202] Stop Talking, Start Coaching! How to Create a Coaching Culture - Kathleen Stinnett, John H. Zenger
- 리더십 스킬로서의 코칭의 힘 - 코칭에 더 효과적인 관리자의 직원은 더 높은 만족과 몰입을 보인다.
- 모든 리더는 코칭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조직은 그러한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 코칭 문화를 만들기 위한 6가지 요소: 리더가 코치할 것이라는 기대를 만든다. 코치가 따라야 할 구조와 절차를 만든다. 훈련 기술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집중하게 한다. 코칭을 위해 과학적이고 최선의 훈련을 한다. 기회와 격려로 이끈다. 책무성을 위해 모니터링과 측정을 한다.
- 현장관리자들의 코칭 리더로서의 역할
- 코칭 역량: 강한 관계형성, 효과적인 의사소통, 행동과 결과 촉진, 지속적인 지원 제공
[M214] Group Coaching: Tools for LeveragingLearning in Groups and Teams - Aly McNicoll
- No one knows as much as all of us 어느 누구도 우리 모두 만큼 많이 알지 못한다.
- 코칭 + 그룹 촉진
- 모두가 같은 소절을 부르면 화음을 얻지 못한다.
[W101] Bringing Love to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in Action at Southwest Airlines - Colleen Barrett, Ken Blanchard
- 가장 중요한 것은 감성적 기반
- 리더십을 위해 사랑을 실천하라(Bring Love to Leadership)
[TU301] Extraordinary Groups: How Ordinary Teams Achieve Amazing Results - Geoff Bellman, Kathleen Ryan
- 4가지 감성적 기반(Energized, Connected ,Hopeful, Changed)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W201] Cegos Global Learning-Trends Survey: Learning and Learner Strategy Implications - Jeremy Blain
- 세고즈 - 영국 컨설팅 회사
- 여전히 이러닝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새로운 테크놀로지로서 Human Touch가 요청된다.
- 정서적 관여(emotional engagement)가 중요하다.
주제 3. "Change, We Can Believe In"
- Barack Obama의 슬로건
- 단순한 변화가 아닌 우리가 믿고 따를만한 변화
- 조직은 그러한 학습의 기반에서 어디로 가야할 것인가?
[W315] Next Generation HR: Sustainable Performance and Agile Strategies - Jackie Orme, Lee Sears
- 미래 지향적인 지속 가능한 성과 창출. 그러한 기반으로서의 조직의 형평성 구축
- HRD담당자는 파트너로서의 위상도 중요하지만 선동자로서 조직을 이끌고 나가야 한다.
[Daniel Pink] Drive
- 현대 사회의 일터는 산업사회의 일터와 다르다.
- 산업사회에서는 효율성 강조. 금전적 인센티브가 중요. 그러나 창의적 생각을 방해할 수 있다.
- 따라서 새로운 시대의 동기부여는 기존의 인센티브 방식으로는 어렵다.
- Motivation 1.0 (생존을 위한 동기부여)
- Motivation 2.0 (당근과 채찍)
- Motivation 3.0 (새로운 동기부여. 자율성 autonomy, 숙달 mastery, 목적 purpose)
[Second City Communications] A Better Way to Change
-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변화에 대응할 것인가(reactive), 변화를 만들어갈 것인가(proactive)?
- 끊임 없는 변화를 창출하기 위한 민첩성(agility), 훈련 기법으로서 즉흥극
- 민첩성은 기술이다. 가르치고 배울 수 있다. HRD가 그런 역할을 해야 한다.
[TU102]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Kirkpatrick Four Levels - Donald Kirkpatrick
- HRD는 과학(science)이면서 예술(art)이다
** 참고사이트
www.astdconferenc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