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R을 통한 개인과 조직의 성장
  • 직장인 자기계발
You think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by 금단현상 2021. 1. 20.
반응형

 

출처 : Pixabay.com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for Korean

김명소, 한영석. (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조사연구, 7(2), 1-38.

 

김명소,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한영석, 중앙공무원교육원 역량진단센타 전문관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복지수 공식을 개발하기 위해 FGI(61명)와 설문조사(1,503명)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6개의 행복요인이 도출되었고, 이들 요인을 Alderfer(1972)의 생존・관계・성장 욕구위계 이론에 따라 3요소로 재분류한 뒤, LISREL을 이용하여 측정 모형에 의한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은 '행복=2.5*생존 + 2.5*관계 + 5*성장'으로 나타났고, 공식에 따른 한국인의 행복점수는 평균 57.71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행복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과 대전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250만원을 기준으로 행복감에서의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또한 행복점수에 따라 상위 33%(즉, 행복하다고 느끼는 집단)와 하위 33%(즉, 불행하다고 느끼는 집단)을 구분하여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존과 관계요소에서의 차이보다는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요인인 성장요소에서 큰 점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생존 요소와 관계 요소보다는 성장요소가 한국인의 행복감 지각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의 행복을 위한 제언을 소개하였다.

주제어 : 행복, 행복지수 행복지수 공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piness index for Korean. 16 factors of happiness derived from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a nationwide sample of 1503 Korean adults were reclassified into 3 components of Alderfer's need theory. The LISREL was used to measure the weight of each happiness f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hapiness index was functioned by a formula(Happiness=2.5*existence + 2.5*relationship + 5*growth). Applying this formula, the average happiness score for Korean was 57.71.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degree of hipiness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s gender, religion, and income. Men was happier than wome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s. As far as the region concerned, those who live in Seoul and Daejeon were happier than the others. People who earn over 2,500,000 won per month were happier than the others in therms of economic status. Finally, the result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revealed that individual or psycholgical growth factor was more important than existence and relationship factors. Based on these significant research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한국인의 행복요소

1. 경제력,     2. 건강,     3. 외모,     4. 사회-정치-문화-환경,     5. 자녀의 바른 성장,     6. 부모 및 친지간의 원만한 관계,     7. 배우자(이성)와의 사랑,     8.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     9. 사회적 지위 및 인정,     10. 자기 수용감,     11. 긍정적 인생관,     12. 자기계발 및 목표 추구,     13. 자립성,     14. 종료,     15. 사회봉사,     16. 여가

<표 2> 한국인의 행복요소와 생존・관계・성장욕구의 대비

욕구 한국인의 행복요소 정의
생존 1. 경제력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금전적 여유와 경제적 능력이 있는 정도
2. 사회,정치,문화,환경 자신이 현재 살고 있는 현 사회의 제반 환경적 요인(사회, 정치, 문화, 교육, 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정도
3. 외모 현재 자신의 신체적 외모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정도
4. 건강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이 없고 건강에 자신 있어 하는 정도
관계 5. 자녀의 바른 성장 자녀가 건강하고 바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자녀간에 화목한 정도
6. 부모 및 친지간의 원만한 관계 부모님을 존경하고 부모님과 친지간에 화목하게 지내는 정도
7. 배우자(이성)와의 사랑 및 신뢰 배우자(이성)와의 관계가 서로 신뢰하고, 존중하며, 배우자(이성)로부터 배려, 신뢰와 사랑을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정도
8.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주위에 친밀감을 느끼는 타인이 있는 정도
9. 사회적 지위 및 인정 타인으로부터 현재 자신의 사회적 지위, 학력 등에 대해 인정받고 있는 정도
성장 10. 자기 수용감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삶에 대한 자부심, 성취감, 수용감 정도
11. 자기계발 및 목표추구 계속해서 성장해 나가려는 의지와 뚜렷한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정도
12. 자립성 자신과 관련된 일에 스스로 책임을 지고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을 하려는 정도
13. 여가 일상을 벗어난 문화생활 및 레저활동을 계획하고 참여하는 정도
14. 긍정적 인생관 삶을 살아가는 데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매사에 자신이 처한 문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정도
15. 사회봉사 어려운 이웃과 소외된 사람들을 돕는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정도
16. 종교 현재 만족스러운 종교생활을 하고 있고, 종교의 교리에 따라 살아가려고 하는 정도

 

☐ 한국인의 행복지수 연구 결과

- 한국인의 평균 행복지수 = 57.71 (표준편차 10.61)     *범위 : 90.45 ~ 16.73 (100점 만점)

- 남녀간의 차이를 보면 남성이 58.59, 여성이 56.87로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더 행복한 것으로 보임. 남녀 모두 자기 수용감, 여가, 사회적 지위 및 인정 및 자립성 항목이 동일하게 5위 안에 포함됨.

- 연령별로는 유의미한 차이 없음.  단, 관계요소에서 20~30대가 50대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행복하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소 월 250만원이라는 소득수준이 행복감을 경험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음.

- 결론적으로 경제력, 건강, 외모, 사회・정치・문화환경과 같은 생존적 특성들은 행복에 있어서 중요한 '필요조건'이다. 또한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와 남서으 여성 모두 현재의 사회・정치・문화환경에 대한 개선과 이에 따른 안정감(불안감 해소) 지각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행복을 보장해 주는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 한국인이 현재보다 더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뿐 아니라 삶에 대해서 긍정적 수용감과 적극적 태도를 갖고, 뚜렷한 삶의 목표 및 비젼을 가지고 계속적인 자기계발을 해나가며, 이와 함께 가족과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며 여가 생활을 계획하고, 사회봉사활동에도 참여하는 것이 한국인의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