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R을 통한 개인과 조직의 성장
  • 직장인 자기계발
반응형

HR Plus445

직원의 성장-개발 계획 실행 성장 개발 계획은 관리자와 직원이 상호 협력하여 수립해야 한다. 이 계획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며, 달성가능하고, 순차적인 실행 계획을 가져야 한다. 또한 즉각적으로 실행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효과와 중요성, 가치가 감소될 수 있다. 실행이 지연되는 경우에 직원들의 성장과 개발에 관심이 없는 관리자들이 그것을 계속 미루는 빌미가 될 수 있다. 출처 : 인적자원개발론 (Gilley) 2009. 3. 12.
멘토링 관련 정의 - Simonsen(1997) Simonsen은 다음과 같이 멘토, 멘티, 관리자, 그리고 조직의 책무를 제시 멘토의 책무 - 멘티를 위한 시간을 정해두고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풍토를 확립하는 것 - 실현가능한 기대를 설정하고 멘티가 현실적인 목표와 적절한 실행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협조하는 것 - 멘티의 생각과 의견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경청하는 것 -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성장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 - 직업인으로서의 행동을 장려하고 부정적인 의도, 행동, 태도에 대해 직언을 서슴지 않는 것 - 장애요인들을 규명하고 그것을 극복할 방법을 찾도록 돕는 것 - 격려를 아끼지 않으며 위기의 순간에 멘티의 편에 서는 것 - 현명하게 조언하고 적절한 자원을 제시하는 것 - 자아를.. 2009. 3. 11.
멘토링 관련 정의 Career Directions, Inc.(1996) 이상적인 멘토  - 타인에 대해 배려하고 존중하는 사람 - 스스로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고, 타인의 성공으로부터 위협을 느끼지 않는 사람 - 다른 사람으로부터 신뢰받고, 타인을 신뢰하는 사람 -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와 함께, 조직의 사명, 목적, 가치, 정책을 이해하고 믿는 사람 - 개인적인 힘과 명성을 지닌 사람 - 개방적이고 혁신적이며, 인내심이 있고 관용적인 사람 - 모호한 상태를 참을 수 있고, 위험을 감수하고자 하는 사람 Grote & Stine(1980) 훌륭한 멘토의 특성 - 인간적 자질 : 훌륭한 멘토는 개방적이고, 수용적이며, 개인적으로 성공을 거둔 뛰어난 전문성을 소유하고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다. - 사회적 지위 : 훌.. 2009. 3. 10.
음... 그동안 고마웠어요... 라는 말을 남기고 떠나가신 그분들... 이제는 나도 무덤덤해졌나보다. 씁쓸한 마음은 있지만, 어느새 잊어버리고 다시 헤헤 거리고 있다. 그냥 그런 관계였었나보다. 항상 아니라고 생각했었는데..... 만나고 서로 이해하고,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나의 주 업무라고 생각했었는데.... 업무에 태만했다는 것도 있고... 만약 그분들과 그런 관계가 되었다고 한다면.... 지금의 마음은 어떨까. 항상 좋을수만은 없는 것이겠지......................... 2009.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