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R을 통한 개인과 조직의 성장
  • 직장인 자기계발
반응형

HR Plus445

의심과 미움을 버리라 출처 : 고도원의 아침편지 의심과 미움을 버리라 우리 마음이 의심과 악의로 가득 찼을 때는 남들이 우리를 달갑지 않게 여긴다는 것이 느껴진다. 그런 부정적인 느낌은 우리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쳐 불행을 가져올 때가 많다. 이 생의 삶을 보더라도 우리가 이타적일수록 더 행복해지는 반면에 악의와 미움에 의해 행동할수록 더 불행해진다. - 달라이라마의《평화롭게 살다 평화롭게 떠나는 기쁨》중에서 - * 어느 날 좋은 사람이 다가와 아무리 큰 사랑으로 문을 두드려도 내 마음이 닫혀 있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상대방보다 자기 마음을 여는 것이 먼저입니다. 마음의 문을 굳게 잠그는 가장 큰 병이 의심과 미움입니다. 사람 사이에 빚어지는 불화의 씨앗이 그 안에 있습니다. 만병의 원인이고, 자기 불행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2008. 9. 30.
Do you like ice cream? [아이스크림의 유래는?] 달콤하면서 부드럽고 시원하기까지 한 아이스크림. 한 번 먹으면 그 맛에 반해버리고, 남녀노소 모두에게, 그리고 무더운 날씨에 더욱 생각나는 아이스크림의 유래는 어떻게 될까? 아이스크림은 처음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그 유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최초의 아이스크림은 수천 년 전 어떤 사람이 추운 겨울밤에 우유 한 그릇을 우연히 밖에 두었을 때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한다. 그 이름처럼‘얼린 크림’이다. 분명한 것은 중국인들이 3000년 전에 눈과 과일즙을 섞어 셔벗을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옛날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B.C. 356~323)은 꿀, 과일즙, 우유로 만든 아이스크림을 즐겼고, 산에서 날라온 눈으로 얼렸다. 유럽의 경우에는 마르코폴로(Marco Polo)가 북경에서 돌아와 .. 2008. 9. 29.
새로운 발견 새로운 발견 "우리가 무언가에 몰입하면 새로운 것이 보이기 시작하죠." "이전까지 '내가 어떻게 그걸 하겠어?', '내가 왜 해야하지?'라고 생각하던 이들도 무언가에 진정으로 몰입하게 되면 그걸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모든 에너지와 역량을 쏟아부을 수 있게 됩니다. 그 순간에 무언가 더 중요한 것을 발견하도록 가치체계가 바뀌는 거죠." - 유영만의《기린과 코끼리에게 배우는 공생의 기술》중에서 - * 산허리에 박혀있는 하찮은 돌 하나도 조각가의 눈에 띄면 기막힌 예술품으로 바뀝니다. 관심이 있어야 보입니다. 깊이 몰입하면 더 새로운 것이 보입니다. 그 전에는 전혀 보이지 않았던 것이 다시금 새롭게 보입니다. 사랑과 관심과 에너지를 쏟으면 모든 것이 새로운 발견의 대상이 됩니다. - 출처 ; 고도원의 아침편지.. 2008. 9. 24.
충청도식 영어(펌) ^^ 충청도식 영어^^ I not see you ? - 아이 낫시유 ? Why not see you ? - 왜 낫시유 ? Not go see for not see you. - 낫코 시퍼 낫시유 ~ I love you see you. - 나는 당신을 사랑했시유 ~ So, I do not see you. - 그래서 아이두 낫시유 ~ I go back hat see you. - 내가 고백했시유 ~ Yes, I help you. - 그려유, 나 헤퍼유 ~ This no are you. - 이거 노아유 ~ There go see you. - 저리 가시유 ~ Where up are you ? - 워디 아파유 ? My mind do up are you. - 나의 마음도 아파유 ~ Live is yes you. - 사는 게.. 2008. 9.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