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R을 통한 개인과 조직의 성장
  • 직장인 자기계발
반응형

HR Plus445

정부·공공기관, 장애인 의무고용률 모두 미달 출처 : 노컷뉴스 - 정부와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률이 법적 의무비율인 2%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 2007년말 기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고용된 장애인공무원은 13,142명으로 전체공무원의 1.6%수준 - 공공기관의 경우 2백50개 기관에 5,650명의 장애인이 고용돼 1.96%의 고용률을 기록. - 87개 국가기관과 지자체 가운데 국가보훈처와 국가인권위원회 등 5개 기관만이 장애인고용률 3%를 초과 - 16개 시도교육청은 한 곳도 2% 의무채용비율을 지키지 않음. - 250개 공공기관 가운데서는 절반인 125개 기관이 의무비율을 채우지 못했고, 특히 단 한 명의 장애인도 고용하지 않은 기관도 33개나 되는 것으로 드러나. - 2009년부터 의무고용 비율 3%로 상향. 장애인 고용 부담금.. 2008. 7. 3.
내년 최저임금 6.1% 인상, 시간당 4,000원 출처 : 서울신문 - 2009년도 최저임금 6.1% 인상, 시간당 4,000원, 8시간 기준 일급 32,000원 - 근로자 208만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 - 2008년도 최저임금 시간당 3,770원, 일급 30,160원 - 지난 2005년 이후 4년째 최저임금 수혜 근로자가 10.3%,11.9%,13.8%,13.1% 등으로 상승 최저임금이 결정이 되었습니다. 시간당 4,000원. 월로 보자면 약 80~90만원정도 되겠네요.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최저임금 수혜자가 매년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가 임금 인상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텐데요.. 물론 기업들도 어려운 것은 이해합니다만, 인건비부터 줄이고 보자는 풍조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는 것 같아서 아쉬운 .. 2008. 6. 28.
중앙대학교 Global HRD 대학원 면접 후기 질문 : 1. 간단한 회사소개 및 회사에서 하는 업무. 2. 최근 상황과 관계된 HRD 부분의 Issue 교수님들은 영어로만 말씀하십니다.(질문 포함) 영어를 못알아 들드면 답변을 할 수가 없지요. 답변은 영어와 한국어 선택 가능합니다. 하지만 결과는??? 우선 모든 대답을 영어로 했습니다. 영어에 자신이 있어서라기 보다는(영어 정말 못합니다ㅠㅠ) 영어로 질문하시면 당연히 영어로 답변해야 한다고 생각했기에... 옆에서 한국어로 유창하게 답변하시는 것을 보면서도 안되는 영어로 답변을 했지요. 제가 원래 갖고 있었던 생각을 10%로도 표현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괜찮습니다. 영어로 HRD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다는 것에 대해(물론 엉망이었지만) 만족합니다. 이제 시작이니까요. 2008.06.28 합격자 조회 .. 2008. 6. 24.
"직장인 36% 영어교육을 받고 있다" 출처 : 연합뉴스 - 잡코리아, 정규직 직장인 631명을 대상으로 '현재 영어교육을 받고 있는가'라고 설문한 결과 35.8%가 '그렇다'고 응답. - 영어교육을 받는 이유 '경쟁력 강화 및 폭넓은 지식 획득을 위해서'(44.7%) '업무에 필요해서'(20.4%) '이직을 준비하기 위해서'(12.4%) - 영어교육 수강 방식 '사설학원(39.8%) '온라인 강의(25.2%) '사내 교육기관'(15.0%) - 영어교육을 받기 위해 지출하는 비용은 한 달에 평균 18만원 정도 정말로 영어 열풍의 시대인 것 같습니다. 초, 중, 고, 대학교때 머리싸매고 공부했던 것으로도 모자라 취업을 해서도 영어에 목매고 있습니다. 10여년을 영어공부를 했는데, 실제로 사회에서 써먹을 영어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지요. 제 경험상.. 2008. 6. 20.
반응형